본문 바로가기

Jetson/Jetson 초기 설정

[Jetson] 1. Jetson 기본 정리

 회사상사가 다른 회사나 연구실과 협업과제를 진행하면서 jetson 보드에 대한 얘기를 듣게 되었고 그때 옆자리에서 아는 척을 좀 했던 적이 있다.

 그러더니 얼마전 갑자기 회사에서 jetson을 구매하더니 또 그걸 내가 맡게 되어버렸다.

 회사에서 jetson 초기 설정 및 기본 사용법을 정리하게 되었고 이렇게 된 김에 개인적으로도 정리를 하고 싶어져서 블로그를 만들어 정리하게 되었다.

 

 우선 Jetson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NVIDIA사에서 개발한 임베디드 개발보드이다.

 

그래픽 카드 및 딥러닝으로 유명한 NVIDIA인 만큼 영상 처리나 딥러닝등을 구현할 수 있을 수준의 고성능 GPU를 탑재하고 있다.

 

 현재 판매되는 Jetson모듈은 TX2, Nano, Xavier, Xavier NX, Nano 2GB 버전이 있으며 이에대한 비교는 아래와 같다. 

아래는 nvidia 홈페이지에서 긁어온 표이다.

 

기기 별로 간단하게 정리해보면

  • Nano, Nano 2GB : 소형, 저가형, 학습용, IOT 어플리케이션
  • TX2 : 소형, 상용로봇, 의료기기 (TX2i버전은 산업용으로 적합하다는 언급이 따로되어있는 정도)
  • Xavier : 대형, 물류로봇, 공장 시스템 대형 산업용 UAV
  • Xavier NX : 상용로봇, 의료기기 등 어플리케이션

 특징으로는 다른 임베디드 연구보드와 달리 그래픽 카드가 기본 장착되어 있으며 CUDA, Tensor코어 등 딥러닝에서 자주보이는 단어들이 자주 보인다는 점 정도가 될 것이다.

 

 나의 경우 회사에 다니기 전 연구실에서 사용했던 보드는 Jetson TX2였던 것으로 기억을 하고 회사에서는 Xavier NX와 Nano 2GB를 구매한 상태이다.

 

 아마 회사에서 사용하게 될 어플리케이션은 화면으로 GUI를 띄우고 거기에 각종 기기의 정보를 띄우며 UI로 로봇에 여러가지 지시를 내릴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하게 될것 같다.

 

 사실 연구실 단계에선 로봇을 제어하거나 여러 센서 정보들을 통신으로 읽어오는 등의 작업은 진행해 본적이 있어 이부분은 크게 걱정이 없지만 GUI를 만드는 부분에 대해서는 아예 백지 상태라 걱정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