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etson/Jetson 초기 설정

[Jetson] 4. 초기 설정 진행(2)

1) CUDA Toolkit 및 CuDNN 설치 및 설치확인

 이전에 ubuntu PC를 통해 진행했을 땐 cuda 툴킷 및 cuDNN을 직접 설치해 줬었는데 놀랍게도 Jetson의 경우 초기에 설치한 Jetpack SDK 내에 CUDA Toolkit 및 CuDNN이 설치 되어 있다. 

 따라서 설치 확인만 진행해도 될 듯하다.

 

 현재 기기에 설치된 jetpack SDK는 4.4.1버전이며 여기에 맞는 툴킷은 CUDA Toolkit 10.2, cuDNN 8.0이다

 이를 확인하는 방법으론 터미널을 통해 다음을 입력하면 된다.

 

cat /usr/local/cuda/version.txt
cat /usr/include/cudnn_version.h | grep CUDNN_MAJOR -A 2

 

 첫번째 커맨드를 입력시 CUDA의 버전이 바로 버전이 출력되고 

 두번째 커맨드를 입력하면 cuDNN의 버전이 메이져 (8) 마이너 (0) 패치레벨(0)로 표현되어 출력된다. 

 아마도 8.0.0 버전을 의미하는거라고 생각한다.

 

2) python 및 pip 설치 

 굳이 파이썬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pip등을 통해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게 될수 있다.

 설치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sudo apt-get install python-pip
sudo apt-get install python3-pip
sudo pip3 install -U pip testresources setuptools==49.6.0

 

 python은 python 2.x버전, python3는 python3.x버전이다. 아직 다수의 파이썬 소프트웨어들이 2.x버전 기반으로 작동을하니 2.x버전도 설치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설치 확인은 각각 다음을 입력해 에러가 나지 않으면 성공이다.

 

python
python3

 

 

3) jetson-stats

 참고로 jetson의 cpu사용이나 fan 속도 등의 하드웨어 설정을 건들 수 있는 software인 Jetson stats도 python2를 통해 설치가 가능하다.

 

설치 명령어 및 실행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sudo -H pip install jetson-stats
jtop

 

 

세세한 사용법은 github.com/rbonghi/jetson_stats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